농식품부가 농업·농촌의 청년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존 농업 생산 중심의 청년정책 범위를 농식품산업 가치사슬 전 분야로 확대, 규제 혁파, 주도적 역할 강화 등 3대 청년정책 추진방향을 설정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8월 5일 충북 진천 소재 청년창업 복합문화공간 ‘뤁스퀘어’에서 '농업‧농촌 청년정책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농업 생산 뿐만 아니라 농산업·농촌 전 분야에서 청년의 창업을 활성화한다. 특히 농식품 청년벤처 '창업루키' 선정 및 홍보·투자 등 집중 지원하고, 선도기업의 기반을 활용한 협업 마케팅 및 컨설팅 지원, 대학 실험실 인프라 연계 지원 등을 추진한다.
청년 기업의 안정적인 스케일업과 수출경쟁력 향상을 위해 470억원 규모의 농식품 청년기업 성장펀드 운용, 입주 공간‧스케일업 자금‧수출확대 관련 정책사업을 청년에게 우대지원한다.
농식품부는 또, 청년창업을 저해하는 규제 혁파에 나선다. 이를 위해 농업법인이 농촌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사업의 범위를 대폭 넓힌다.
기존에 영농 관련된 사업만 제한적으로 허용된 농업법인 사업범위를 전후방사업으로 확대하여, 청년에게 새로운 농촌창업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영농정착지원사업 수혜 시 의무영농기간 동안에는 자가생산 농산물만 활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외부에서 조달한 농식품 원료도 가공 및 체험사업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허용하여 신속한 사업확장을 돕는다.
이 밖에도 청년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참여하는 농정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청년농업인, 농업 전후방 연계기업, 농촌 창업기업이 참여하는 ‘농업·농촌 청년 네트워크’를 발족하여 상호 정보 공유, 비즈니스 협업체계 구축 등 상생 관계를 강화한다. 청년의 조직화된 목소리가 농정에 신속하게 반영되도록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등에 청년위원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5일 충북 진천에서 '청년과 함께 농업‧농촌의 미래를 열다' 주제로 열린 청년정책 발표 및 현장간담회에서“기후변화, 농촌고령화, 농촌소멸 등 농업‧농촌의 위기 극복을 위하여 청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청년과 함께 새로운 농업‧농촌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앞으로도 열정을 가진 청년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구체적인 실천과제들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농식품부는 농업‧농촌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창출하기 위하여 농업 정책의 3대 전환(디지털‧세대‧농촌공간)을 추진 중이다. 특히 고질적인 농업현장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농식품부는 지난 1월부터 부내 모든 실국이 참여하는 '개혁추진단(TF)'를 운영하고 있다.
농업‧농촌 및 미래 핵심주체인 청년에 대한 대책은 추진단(TF)의 6개 과제 중 대표과제이다. 미래의 정책고객인 2030자문단, 청년농 및 청년벤처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청년정책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현장간담회 및 전문가 정책자문을 거쳐 개혁과제들을 발굴한 바 있다.
【곽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