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산업뉴스

경북종돈은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최고의 한국형 종돈생산을 위하여 연구 노력합니다.

KYUNGBOOK GGP
KYUNGBOOK GGP
산업뉴스
국제곡물가 다시 '하락세'… 3·4분기 연속 하락 전망(피그앤포크) 2024.08.05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제곡물관측 8월호’ 발표

# 국제곡물가 8분기 만에 상승… 3·4분기에 다시 하락 전망

# 곡물 수급 상황은 개선됐지만 하반기 라니냐 발생 위험 높아

#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 5.8% 하락 전망, 7월 수입단가도 ↓

▲ 해당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 / 셔터스톡)

올해 2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가 8분기 만에 상승세로 전환됐지만 양호한 곡물 수급으로 3·4분기에는 다시 연속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매달 발간하는 '국제곡물관측 8월호'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2015년=100)는 지난 2분기(121.3) 대비 4.6% 하락한 115.7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아울러 4분기에도 0.3% 하락한 115.4로 약보합세를 보일 전망이다.

▲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 동향 및 전망 (자료 / 국제곡물관측 8월호)
▲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 동향 및 전망 (자료 / 국제곡물관측 8월호)

앞서 지난달 농경연은 기상 변동성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로 3분기 국제곡물가가 소폭 상승할 것이라 전망했으나, 미국의 밀·옥수수 생산량 증가 및 주요 곡물 기말재고량 증가 등 곡물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에 따라 이를 하향조정했다.

다만 미국기후예측센터(CPC)에서 8~10월 라니냐 발생 확률을 70%라고 전망한 만큼 하반기 라니냐 발생이 가격 하락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목했다.

▲ 곡물 수입단가지수 동향 및 전망 (자료 / 국제곡물관측 8월호)
▲ 곡물 수입단가지수 동향 및 전망 (자료 / 국제곡물관측 8월호)

한편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상반기 곡물가격 하락시기에 구입한 물량이 주로 도입되면서 전 분기 대비 5.8% 하락한 136.0을 기록할 전망이다.

7월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 또한 △밀 266달러/톤(전월 대비 3.9%↓) △옥수수 246달러/톤(2.0%↓) △대두박 474달러/톤(3.8%↓)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사료용 곡물과 기타 부원료의 수입단가 하락으로 대미환율 0.2% 상승에도 불구하고 7월 사료원료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2.2% 하락한 140.1로 나타났다.

【홍란 기자】

비밀번호 질문 종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